오피스/엑셀

[기초 엑셀 27편] 소수점 버리기 INT 함수 배우기

YUJUINJANG 2022. 8. 3. 07:59
728x90

안녕하세요 오늘은 엑셀에서

소수점 숫자가 나오는 경우 간단하게 소수점 제거 후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하는 INT 함수에 대해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위와 같은 예시가 있다고 할 때

=INT(B2) 을 사용하면

12.158에서 소수점 부분 0.158을 제외한

12만 데이터로 나오게 됩니다

만약 위와 같이 12.7888 같은 데이터가 있더라도

INT 함수는 가까운 정수로 내려주는 함수라 추출 값은 12가 됩니다

채우기 옵션 사용해서

나머지 B3, B4 셀도 데이터 추출합니다

다른 예시도 보겠습니다

위와 같은 경우일 때는 INT 함수를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요??

여기서 함수 마법사로 정확히 INT 함수를 뭐라고 설명하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정수로 내림한다

음수에서는 내림할 때 가장 가까운 정수가 -13임으로 -13이 나오게 됩니다

정리해 보면 INT 함수는 소수점 아래를 버리고 가장 가까운 함수로 내려주는

함수라고 생각하시면 될 거 같습니다

오늘도 부족한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사진출처 유주인장*

 

728x90